반응형 이과169 [안드로이드] FCM의 구동 원리 안녕하세요 코딩초밥입니다 ㅇㅅㅇ 어플을 만들고 배포 후 그 만들어진 어플들에게 알림 서비스를 할 수 있는 Fcm의 구 동원리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예제는 네이티브 앱에서 다루도록 하고 이번 블로그는 구 동원리를 말로 설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블로그입니다 FireBase Cloud Messaging 본연의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또 하나의 복잡한 알림 기능까지 포함한다면 서버의 속도는 처리량이 많아 느려질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책으로 알림의 기능은 다른 서버가 제공을 해주고 본서 버는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에 알림이 있는지 요청해서 정보를 가져오는 구조입니다. | 동작 순서 1. 디바이스에 앱이 설치된 후 최초 실행되면서 고유 식별자인 디바이스 토큰이 발급됩니다 이 토큰을 앱.. 2021. 5. 20. [컴퓨터활용]데이터베이스의 정규화 정규화란? 이상현상이 발생하지않도록 중복성 및 종속성을 베제하는 원칙을한 공식화된 원칙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설계 단계와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됩니다 속성(ATTRIBUTE) 수가 적은 릴레이션(테이블)으로 분할하는 과정 릴레이션(테이블)의 속성들 사이의 종속성 개념에 기반을 두고 이들 종속성을 제거하는 과정이라고 할수있습니다 2021. 5. 19. JSP란 (Java Server Pages) 안녕하세요 코딩초밥입니당 ㅇㅅㅇ JSP라는 계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JSP(Java Server Pages)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Server Side 스크립트 언어 HTML 코드에 Java 코드를 넣어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도구 jsp는 왜 만들어졌을까 초기에는 관리자가 새로운 정보를 클라이언트(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싶을 때는 WebServer에서 index.html을 관리자가 수시로 업데이트하였습니다.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관리자가 일도 많았습니다. (일자리 많았겠다..) 하나 그렇게 관리자가 다 관리하고 업데이트하고 갈고닦고 하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겠죠? 사람인데!! 그래서 이 단점을 보안해 주던 방식으로는 클라이언트.. 2021. 5. 18. [컴퓨터활용]데이터베이스의 개체관계도 개체 관계도(ERD) 개체 관계도란? 개체와 개체간의 관게를 기본 요소로하여 현실세계로 개념적인 논리 데이터로 표현하는방법 실세계 데이터에 관해 일반 사용자, 프로 그래머, 관리자 등의 서로 다른 인식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설계함 개체(Entity), 관계(Relationship), 속성(Attribute) 등으로 구성됨 2021. 5. 17. [안드로이드]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안녕하세요 코딩초밥입니다 혹시 여러분들은 계좌이체를 해보았나요? 저는 오늘도 4번을 했는데요..(내돈..) 상상해봅시다. 내가 돈을 제 3자한테 보냈는데 어떤 이상현상으로 (관리하던 데이터베이스가 에러가 걸린다거나) 하면..내 돈은 갑자기 공중 분해 되겠죠? 그러면 화가 나겠어요? 안나겠어요? 그러나 이런 경우는 정말 없죠. 왜 그럴까요? 데이터베이스가 완벽에 가까워서 그럴까요????? 자, 우리의 삶과 가깝지만 낯선 녀석 트랜잭션을 알아봅시다 😀😍 | 트랜잭션 트랜잭션이란, 데이터 베이스의 상태 변화시키기 위해서 수행하는 작업 단위를 뜻합니다 SQL 을 이용하여서 데이터 베이스의 접근 하는것을 의미합니다 'SELECT' 'INSERT' 'DELETE' 'UPDATE' 이 4가지의 질의어가 따로 쓰이는것.. 2021. 5. 16. [컴퓨터 활용] 보안위협형태 모음 스푸핑: 웹사이트 구축 -> 정보를뺴냄 스니핑: 패킷을 엿보면서 아이디, 패스워드 정보를 뺴냄 스파이웨어: 사용자 동의없이 사용자정보를 수집 혹스: hoax 악성코드인것처럼가장 DDOS: 여러 대 컴퓨터가 동시에 특정사이트들 공격함 웜: WORM, 네트워크를 통해 연속적으로 자신을 복제, 시스템 부하를 일으켜 시스템이 다운되는 현상 메모리해킹: 메모리(RAM)에 있는 데이터를 위조/변경하는 해킹 스미싱: 문자메세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 쿠폰, 초대장등의 문자메세지를 보내고 수신한자가 클릭하면 악성코드가 설치되어 금융정보를 뺴내는 행위 백도어: 보안이 제거된 비밀통로 파밍: 허위 사이트로 유도하여 금융정보를 뺴내는 행위 눈속임: spoof, 정상인 것처럼 속임수를 사용 피싱: 가짜 .. 2021. 5. 15.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29 다음 반응형